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반려견 등록제, 꼭 알아야 할 이유와 등록 방법

by 소윤:) 2025. 8. 21.
반응형

반려견 등록제는 사랑하는 반려견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 분실·유기 시 빠르게 보호자에게 돌아갈 수 있고, 책임 있는 반려문화 정착에도 큰 도움이 돼요.

🐶

대상 : 주택·준주택에서 기르는 2개월 이상 반려견 

미등록 시 : 과태료 부과 가능

장점 : 분실·유기 시 신속한 보호자 확인

1) 반려견 등록제가 뭔가요?

동물보호법에 따른 의무 제도로, 반려견 정보를 지자체에 등록해 관리하는 제도입니다. 등록번호로 보호자를 확인할 수 있어 분실·유기 예방에 효과적입니다.

2) 등록 방법 (내장형 · 외장형 · 인식표)

방식 특징 비고
내장형 마이크로칩 수의사가 피하 이식 · 영구관리 용이 · 분실 위험 낮음 동물병원/대행기관 등록
외장형(목걸이·하네스) 부착 간편 · 교체 쉬움 · 분실 가능성 있음 보조로 내장형 병행 권장
인식표 부착 이름·연락처 표기 · 즉시 연락 가능 법정 등록과 별개, 필수 매너

3) 등록 절차 & 비용

  1. 가까운 동물등록 대행기관(동물병원 등) 방문
  2. 등록 방식 선택(내장형/외장형) 후 신청서 작성
  3. 등록 처리 · 등록증(또는 번호) 확인

비용(예시) : 내장형 칩 약 3~5만 원, 외장형 약 1만 원 내외. 지자체별 지원·할인 행사가 있을 수 있어 사전 확인을 권장합니다.

4) 등록 후 꼭 하는 관리 (변경·말소 신고)

  • 주소·연락처 변경 시 30일 이내 변경 신고
  • 분실·사망 시 지체 없이 신고
  • 미신고·미등록은 과태료 부과 대상

5) 왜 꼭 등록해야 하나요?

✅ 분실·유기 시 신속한 보호자 확인
유기견 감소 및 구조 효율 향상
책임 있는 반려문화 정착
✅ 지자체 정책·복지 연계 용이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등록 대상은 정확히 누구인가요?

주택·준주택에서 기르는 2개월 이상 반려견이 원칙적으로 대상입니다.

Q. 미등록하면 어떻게 되나요?

정기 단속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등록 행사를 활용해 조기에 완료하세요.

Q. 이사나 번호 변경은 꼭 신고해야 하나요?

30일 이내 변경 신고가 의무입니다. 미신고 시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

 

www.animal.go.kr

 

반응형